시작하며
매년 공개되는 지하철 이용 통계는 대중교통 흐름을 파악하는 중요한 자료이다. 특히 수도권에서는 특정 역들의 이용객 수가 변동하면서 이동 패턴에도 변화가 생긴다. 2024년에는 기존 1위를 유지하던 강남역이 새로운 역에게 자리를 내주었고, 몇몇 역들은 이용객이 급격히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 이번 통계를 통해 가장 많이 이용된 지하철역과 예상 외로 변화가 있었던 역들을 살펴본다.
1. 2024년 이용객이 가장 많은 지하철역
올해 가장 많은 사람들이 이용한 지하철역 상위 3곳은 다음과 같다.
- 1위: 잠실역
하루 평균 19만3,989명이 이용하면서 1위에 올랐다. 이는 전년 대비 8,641명이 증가한 것으로, 8호선 연장이 남양주·구리 지역과의 연결성을 높인 영향이 컸다. - 2위: 서울역
GTX-A 개통 및 다양한 환승 노선으로 인해 하루 평균 18만9,569명이 승하차하며 이용객이 급격히 증가했다. - 3위: 강남역
오랫동안 1위를 유지했지만, 잠실역과 서울역에 밀려 3위로 내려갔다.
2. 이용객이 급증한 역과 감소한 역
일부 역들은 이용객이 눈에 띄게 늘어나거나 줄어들었다.
🚇 이용객 증가 역
- 노원역: 공사로 인해 환승통로가 일시 폐쇄되면서 외부 출구를 통한 이동이 증가하여 승하차 인원이 늘어났다.
- 화서역: 인근 대형 쇼핑몰 개장으로 이용객이 50% 이상 증가했다.
- 상수역: 최근 몇 년 동안 이용객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하루 평균 8만8,000명에 도달했다.
🚇 이용객 감소 역
- 기존 상업 중심지에 위치한 역들은 상대적으로 이용객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 일부 지역은 새로운 지하철 노선 개통으로 인해 다른 역으로 수요가 분산되었다.
3. 서울교통공사 통계와 실제 이용객 차이
일부 언론에서 발표한 자료와 실제 이용객 수가 다르게 나타난 경우도 있다.
- 공식 발표에서는 홍대입구역이 2위로 보도되었지만, 실제 수도권 전체 전철 이용객 수를 합산하면 서울역이 2위에 해당한다.
- 서울역은 여러 운영기관이 관리하는 노선이 지나가므로, 단일 기관 통계만 보면 정확한 순위를 파악하기 어렵다.
4. 노선별 이용객 변화
노선별 승하차 인원도 변화가 있었다.
- 2호선: 여전히 가장 많은 승객이 이용하는 노선이다.
- 서해선: 연장 개통의 영향으로 이용객이 26% 증가했다.
- 8호선: 새로 개통된 구간 덕분에 이용객이 133% 급증했다.
- 신림선: 개통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88%의 성장세를 보였다.
- 경춘선: 일부 구간에서 승객이 감소한 유일한 노선이었다.
5. 새롭게 이용객이 증가한 지하철역
새로운 철도망이 연결되면서 이용객이 증가한 역들이 있다.
- 수성알파시티역
- 국제업무지구역
- 덕계역
- 부산종합운동장역
- 산곡역
이 외에도 일부 신도시 지역에서 이용객이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6. 가장 한산한 지하철역
반면, 여전히 이용객이 거의 없는 역들도 존재한다.
- 경의중앙선 운천역: 하루 평균 11명 이용
- 임진강역: 하루 평균 63명 이용
마치며
2024년 지하철 이용 현황을 보면, 새로운 철도망과 도시 개발이 이용객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서울역은 환승이 집중되면서 앞으로도 이용객이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 반면, 과거 유동인구가 많던 역들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수도권의 이동 패턴이 점차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앞으로도 대중교통 이용 흐름을 지속적으로 분석하면서 변화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철로 떠나는 연천 둘레길 여행 – 망곡산 & 군자산 트래킹 코스 (0) | 2025.03.14 |
---|---|
오사카 여행 필수! 교통 패스 총정리 및 추천 패스 안내 (0) | 2025.03.14 |
겨울 북한산 등산코스 추천, 영봉부터 백운대까지 안전하게 걷는 법 (0) | 2025.03.14 |
가덕신공항이 부산의 하늘길을 바꿀 수 있을까 (0) | 2025.03.14 |
제주 오레브 핫스프링 앤 스파 방문기 - 수질부터 시설까지 현실 분석 (0) | 202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