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여행

재외국민 인증센터 도입! 온라인 본인확인 간편 절차 시행

by 김춘옥 TV 2025. 2. 20.

1. 시작하며

해외에 거주하는 한국 국민 중 일부는 국내 온라인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특히, 한국에서 발급된 휴대전화가 없을 경우 본인 인증 절차를 진행하기 어려워 전자정부 서비스나 금융 서비스 이용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2025년부터는 재외동포인증센터가 운영되면서 이러한 불편함이 해소될 예정이다. 새롭게 도입되는 비대면 신원확인 시스템을 활용하면 재외공관 방문 없이도 전자여권과 해외 체류 정보를 기반으로 본인 인증을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재외국민은 은행, 토스 등에서 제공하는 전자서명 인증서를 발급받고, 다양한 국내 온라인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2. 한국 휴대전화 없이도 온라인 서비스 이용 가능

지금까지 한국 내 온라인 서비스는 본인 인증을 위해 주로 휴대전화 인증 방식을 사용해왔다. 그러나 한국에서 발급된 휴대전화가 없는 재외국민들은 본인 인증을 진행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재외동포인증센터는 기존의 인증 방식보다 간소화된 절차를 제공하며, 온라인 서비스 접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기존 인증 방식의 한계

  • 공동(금융) 인증서 발급 시 원거리 재외공관 방문 필요
  • 한국 휴대전화가 없으면 본인 인증이 불가능
  • 전자정부, 금융, 의료 등 국내 온라인 서비스 이용 제한

✅ 새롭게 도입되는 인증 방식

  • 재외공관 방문 없이도 전자여권을 활용한 본인 인증 가능
  • 은행 및 토스 앱에서 전자서명 인증서 발급 가능
  • 다양한 국내 온라인 서비스에 인증서 사용 가능

 

3. 재외동포인증센터 이용 방법

재외국민이 전자서명 인증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 재외국민 등록이 되어 있어야 한다.
  • 주민등록번호를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 유효한 전자여권을 보유해야 한다.

이 조건을 충족하면 안면 인증 등의 절차를 거쳐 은행이나 토스 앱을 통해 ‘재외국민용 전자서명 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다.

 

4. 재외국민 인증서 활용 범위

전자서명 인증서를 발급받으면 국내 온라인 서비스 이용이 훨씬 간편해진다. 다양한 분야에서 본인 인증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 인증서를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

  • 전자정부 서비스 – 각종 행정 민원 신청 및 증명서 발급
  • 금융 서비스 – 국내 은행 계좌 개설 및 금융거래
  • 의료 서비스 – 온라인 건강검진 예약 및 보험 관련 서비스
  • 교육 서비스 – 국내 대학 온라인 강의 수강 및 학사 행정 처리
  • 쇼핑 서비스 – 국내 온라인 쇼핑몰에서 간편 결제 가능

 

5. 서비스 시행 일정

  • 📌 2024년 11월 – 시범 서비스 개시
  • 📌 2025년 1월 – 정식 서비스 개시
  • 📌 2025년 2월재외국민 아이핀(I-PIN) 발급 서비스 추가 예정

추후 아이핀(I-PIN) 서비스가 도입되면 더욱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에서 본인 인증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6. 마치며

이번 재외동포인증센터의 도입은 해외 거주 재외국민들이 한국 내 온라인 서비스를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변화다. 기존에는 한국 휴대전화가 없으면 본인 인증이 어려웠지만, 앞으로는 전자여권과 해외 체류 정보만으로 간편하게 인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전자정부 서비스뿐만 아니라 금융, 의료,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2025년 정식 도입되는 이 제도를 통해 더 많은 재외국민들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재외국민 #본인인증 #전자서명 #재외동포 #해외거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