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뷰 및 꿀팁

간헐적 난방으로 난방비 절약? 실사용 팁과 관리비 공개

by 김춘옥 TV 2024. 12. 25.

1. 간헐적 난방의 기본 원리

간헐적 난방은 난방을 일정 시간 동안만 가동하고, 나머지 시간은 꺼놓는 방식이에요. 이렇게 하면 바닥이 뜨겁지 않아도 미지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죠. 온도가 완전히 떨어지기 전에 다시 난방이 가동되니까 에너지 효율이 높아져요. 쉽게 말하면, 게임에서 체력 포션을 한 번에 다 쓰지 않고 조금씩 나눠 먹는 전략 같은 거예요. 한 번에 큰 효과는 없지만, 누적되면 꽤 괜찮은 결과를 볼 수 있죠.

 

2. 코테크 난방 조절기 사용법

제가 사용한 코테크 난방 조절기는 시간 단위로 난방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요. 집집마다 조절 방식은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기본적인 사용법은 비슷할 거예요.

 

외출 모드 끄기

먼저 난방 조절기의 외출 모드를 끄세요. 외출 모드는 집에 사람이 없을 때 난방을 거의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된 모드라서, 간헐적 난방과는 맞지 않아요.

 

시간 설정하기

외출 모드를 끈 다음, "온도 시간" 버튼을 눌러 난방 시간을 설정해요. 예를 들어, 한 시간 기준으로 4분씩 난방을 돌리게 설정하면, 나머지 56분 동안은 난방이 꺼져 있는 상태가 돼요. 이 시간 설정은 집의 단열 상태와 날씨에 따라 조정해야 해요. 예를 들어, 바람이 많이 부는 날에는 5, 날씨가 따뜻한 날에는 3분으로 설정하는 식이죠.

 

시간 조정 팁

날씨가 갑자기 추워질 때는 설정 시간을 바로 많이 늘리지 마세요. 한 번에 1분씩 늘리고 하루 정도 상태를 확인하는 게 좋아요. 급하게 설정 시간을 늘리면 난방비가 훌쩍 뛰어오를 수 있거든요. 마찬가지로 날씨가 따뜻해질 때는 시간을 1분씩 줄이는 식으로 조정하세요.

 

3. 간헐적 난방을 위한 추가 팁

환기와 난방 조화

아침에 환기할 때 난방을 꺼놓지 않아도 돼요. 간헐적 난방으로 설정된 시간에만 난방이 돌아가니까, 환기 후에도 집안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지 않아요. 예를 들어, 창문을 열었다 닫고 나서도 바닥이 미지근하게 유지되니까 금방 다시 따뜻해져요.

 

커튼 활용하기

밤에는 거실과 방의 커튼을 꼭 닫아주세요. 커튼 하나만으로도 단열 효과가 꽤 크더라고요. 찬바람이 유입되는 걸 막아주고, 실내 온도가 더 빨리 떨어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어요.

 

최적의 설정 시간 찾기

집의 단열 상태에 따라 최적의 설정 시간이 다를 수 있어요. 제가 사는 오피스텔은 방 3개짜리라 난방비가 일반 아파트보다 비싸게 나와요. 그래서 4분 설정을 기본으로 사용하고, 날씨에 따라 3분이나 5분으로 조정했어요. 단열이 잘 안 되는 집이라면 기본 시간을 조금 더 늘리는 게 필요할 수도 있어요.

 

4. 간헐적 난방의 실질적인 효과

제가 간헐적 난방을 적용한 후 실제로 관리비가 얼마나 줄었는지 보여드릴게요. 관리비 고지서를 비교하면서 간헐적 난방의 효과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었어요.

 

1월 관리비 고지서

  • 난방비: 30,230원

이 시기에는 날씨가 꽤 추웠던 터라 설정 시간을 4분에서 5분으로 늘려 사용했어요. 그래도 난방비가 크게 부담스럽지 않았어요.

 

2월 관리비 고지서

  • 난방비: 26,230원

날씨가 점점 따뜻해지면서 설정 시간을 4분으로 줄였어요. 그 결과 난방비도 자연스럽게 줄어들었죠.

 

5. 간헐적 난방의 장점과 단점

장점

  •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다.
  • 바닥 온도가 유지돼 쾌적하다.
  • 난방을 끄고 켜는 번거로움이 줄어든다.

 

단점

  • 초기 세팅 시간이 약간 번거로울 수 있다.
  • 단열이 약한 집에서는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6. 간헐적 난방에 적합한 사람

간헐적 난방은 집의 단열 상태가 어느 정도 갖춰져 있고, 난방비를 줄이고 싶어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해요. 특히 난방을 계속 틀어놓기 부담스러운 1~2인 가구나 오피스텔 거주자에게 좋은 방법이에요. 가족 단위로 거주하는 큰 집에서는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https://youtu.be/qq8SYzIkf4o?si=q5sr8AFQxfXkU1bK